아키텍트2010. 3. 8. 17:51

앞의 글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모듈화 데이터센터에 대해서는 언급했었는데 이번 주에 발표된 내용을 조금 업데이트 하려고 합니다. 2010년 3월 4일,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 총책임자인 Kevin Timmons가 발표한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회사가 겪고 있는 문제 중 하나는 IT 자원이 필요할 때 얼마나 빨리 제공 가능한가 하는 것입니다. 일반 회사의 경우는 IDC(인터넷 데이터센터)에 의존하고 있어서 느끼지 못할 수 있지만 IDC 자체는 공간, 전원 등의 이슈로 인해서 IDC를 새로 구축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죠. 이때 비용이 얼마나 발생하게 될까요? 당연히 땅을 구매해야 하고, 쿨링, UPS 등을 고려할 때 천문학적 금액이 소요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IDC 1곳을 신규로 지을 때 4~5억불 (약 5천억) 정도를 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이렇게 막대한 투자가 바람직하지 않더라는 거죠. 자원이 필요할 때 소규모로 확보한 땅, 또는 빌딩에 컴포넌트화된, 즉 모듈화된 컨테이너를 장착한 후 전력과 네트웍을 연결하면 필요한 IT자원이 제공되는 것이 훨씬 더 비용 효율적, 그리고 빠른 시간에 IT 컴퓨팅 파워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거죠. 클라우드 컴퓨팅이 점점 더 회사의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이 되면서 필연적으로 등장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무한 확장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려면, 해당 요청사항을 감당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현재 Chicago 데이터센터 1층, 그리고 Dublic 데이터센터에서 컨테이너 기반의 컴퓨팅 환경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층은 전통적인 데이터센터로 운영되는 하이브리드 모형이죠.


하지만, 이후의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는 순수하게 모듈화 데이터센터로만 구축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장점은? 비용이 저렴한 곳을 확보하여 어디든, 언제든 컴퓨팅 파워를 확보할 수 있게 된 것 ! 쿨링 등의 공조는 컨테이너 내부에 설계되어 있고 컨테이너 1대당 1,200대에서 2,100대까지의 서버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PUE (Power Usage Effectiveness) 역시 1.26에서 1.35 정도로 효율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 데이터센터가 2.1 정도 수준이니까 그린 IT에도 일조하는 것이죠.
(PUE는 낮을수록, 1에 가까울 수록 효율성이 높은 것입니다. 데이터센터에 유입되는 전기 중 IT장비가 사용하는 전기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PUE = 유입되는 전기 / IT장비가 사용하는 전기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26. 11:05

Windows Server 2008 R2의 Hyper-V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즉, A호스트에서 운영되던 가상서버를 B호스트로 이관할 때 이미 연결되어 있는 세션의 끊김 없이 이관해주는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십니다. 이에 대한 명쾌한 가이드가 본사에서 나와서 알려드립니다.

제일 많은 궁금증이 아래와 같습니다.

1. 호스트 서버에 네트웍 카드가 몇 개나 필요하지?
2. 호스트에 네트웍 카드 (NIC)가 2개, 3개, 4개, 그 이상이면 어떻게 설정하지?
3. 네트웍 카드가 몇 개 없다면 트래픽을 어떻게 적은  NIC에 묶어서 보내지?
4. 1Gbps NIC과 10Gbps NIC을 가지고 있을 때 추천하는 가이드가 달라지나?

Hyper-V: Live Migration Network Configuration Guide

일단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영문인데, 혹시 한글로 필요하시면 말씀해주세요.제가 중요한 부분만 번역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24. 14:07
안녕하세요, 까만돌 신현석 입니다.
오늘 Microsoft Cloud Day에서 발표를 진행합니다. 오후 4시부터 시작할 예정이구요.
장소는 롯데호텔 3층 컨퍼런스 룸 입니다.

오늘 글을 올리는 이유는 제가 번역한 책, "클라우드 컴퓨팅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을 드리려고요.
댓글에 신청해주시는 분 중 2분께 책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선착순은 아니고, Random 함수를 돌려서 제일 높은 점수를 받으신 분에게 드리려고요.

신청은 2010년 2월 28일까지 받도록 하겠습니다.
결과는 3월 1일에 올려드릴게요.

감사합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22. 14:40

지난 주에 ISV 업체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인터뷰 소개 자료입니다. MSDN PONCON에 올라간 내용을 가져와 봤습니다. 한 번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22. 08:56

지난 주 목요일에 블로터닷넷 포럼에 참여했습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선정한 2010년 10대 IT 트렌드, 클라우드 컴퓨팅, 그린 IT, 마켓플레이스, 모바일, 3스크린 전략과 새로운 사용자경험(UX) 기술, 가상화, 소셜리틱 애플리케이션, 통합보안환경, IT거버넌스,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의견과 그 중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에 중점을 두어 진행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bloter.net/archives/26093 (블로터닷넷)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일시 : 2010년 2월 17일(목) 오후 5시~7시
  • 장소 : 블로터닷넷 대회의실
  • 참석자 : 장현춘 부장(개발자 및 플랫폼 사업 총괄, 아키텍트 에반젤리스트), 신현석 부장(개발자 및 플랫폼 사업 총괄, 아키텍트 에반젤리스트), 도안구·이희욱·주민영 블로터닷넷 기자
mscloud100222shinbloterforum1020msittrend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5. 17:07

아주 작지만 의미 있는 행사 입니다. 누가 첫번째로 시장에 진입하는가? 시도하는 가에 따라 이노베이터가 되기도 하고, 얼리어답터로 인정받기도 합니다. 이노베이터가 되어 보시는 건 어떨까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Windows Azure Platform을 미리 경험해보실 수 있는 토큰을 제공해드립니다. 개발을 아신다면, 어떤 서비스를 개발하면 될까?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누구나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행사 홈페이지: http://cafe.naver.com/mscloudapp

- 신규 서비스를 Windows Azure에 올리거나
- 기존 패키지를 Windows Azure로 마이그레이션 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세부 안내



1. 제안서 제출

일정 기준의 제안서(글 _ 제안서 양식에서 다운로드 가능)를 제출합니다.

제출은 2월 10일 수요일부터 시작하실 수 있으며 마감은 2월 24일 수요일 09:00AM입니다.

제출은 이메일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제출 이메일 주소 : t-eusong@microsoft.com

2. 제안서 통과

일정 기준을 충족하여 작성된 제안서를 제출한 팀을 대상으로 제안서를 통과시켜드립니다.

통과팀 발표는 3월 2일 수요일입니다.

3. Application 제출 및 발표, 평가회

제작한 application은 3월 25일 목요일까지 제출하셔야 합니다.

이날 저녁 7시에는 평가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 평가회에서는 각 팀당 10분의 발표와 5분의 Q&A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심사위원의 평가뿐만 아니라 참가자들끼리의 평가를 합산하여 시상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4. 시상식 및 발표회

3월 중 시상식이 있을 예정입니다.(일시 추후 공지) 대상(1팀), 금상(2팀), 은상(3팀)을 선정해 시상할 예정이며 대상팀과 금상팀은 발표를 하셔야 합니다.

* 시상 내역

대상(1팀) - 태블릿 넷북 (GIGABYTE T1028X HD Win7) 1대

금상(2팀) - XBOX 360 팀당 각 1대

은상(3팀) - Microsoft 키보드 마우스 세트 (Wireless Laser Desktop 6000 v3)

제안서 통과 팀을 대상으로 Windows Azure 티셔츠 증정

한 번 참여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4. 14:20

IT 서비스의 미래 비전, 클라우드컴퓨팅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현재 인터파크, YES24, 교보문고, 강컴, 11번가에서 예약판매 중입니다. 책이 정식으로 나오면 2~3분 정도 블로그 이벤트를 해서 증정하도록 하겠습니다. ㅋㅋ, 책 한번 쓰기 힘드네요. 번역이나 집필하실 일 있는 분들 문의주시면, 어떤 과정을 거치는 지 제가 브리핑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웹 애플리케이션을 디자인ㆍ구축ㆍ유지하는 일을 하고, 클라우드에 배포할지 모른다면, 이 책은 바로 여러분을 위한 것이다.      - 서문 중에서 -

 이 책의 목적은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들이 그들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책은 Amazon EC2,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애저, 애저 서비스 플랫폼 같은 클라우드에 집중해서 쓰여졌고, 구글의 Gmail, 마이크로소프트의 핫메일 등의 소비자 대상의 클라우드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는 공통의 프레임웍을 설정하고 시작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클라우드컴퓨팅의 정의, 장점에 대한 설명 이후 실제 구현하고자 할 때 필요한 방법을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관점, 인프라 클라우드 구축 관점으로 나뉘어 잘 설명하고 있는 책입니다. , 이 책을 읽고 난 이후 실제 구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측면이 강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기 위해서 역자 서문의 일부 내용을 발췌했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1. 10:43

클라우드 컴퓨팅, 필요한 IT 자원을 소유하지 않고 빌려 쓰는 시대의 도래는 모두 느끼고 있습니다. 결국 그 자원을 보유하는 곳은 데이터센터이고,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막대한 전기는 화석연료(석탄)를 이용하고, 그 화석연료를 태우면서 발생하는 CO2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고, 소 빙하기 어쩌고 하는 논란으로 이어지는 것을 보면 참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IT 자원은 앞으로도 더욱 많이 사용될 것이고, 결국 데이터센터는 더 많이 필요하게 될 것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이 데이터센터가 소모하는 전기의 많은 부분이 쿨링, 즉 데이터센터에서 구동되는 서버들이 내뿜는 열을 식히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에어컨으로 이 열을 식히려면 정말 정말 많은 전기가 필요합니다. 약 40% 정도를 사용한다고 하죠.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지금같이 추운 겨울에도 (무려 영하 15도로 떨어져도) 쿨링 장비는 계속 가동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외부의 찬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봄, 가을, 겨울 중 기온이 15도 이하인 날 수를 따져보면 몇 일 정도 될까요? 365일 중 적어도 150일 정도는 될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약 40% 정도는 외부의 온도를 내부로 유입시키면 쿨링 시설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쿨링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소모의 40%, 보수적으로 반만 잡아도 20%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너무 비약이 심한가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전략 중 유럽, 중동 지역을 커버하는 아일랜드 더블린 데이터센터를 소개합니다. 더블린은 데이터센터를 위한 정말 최고의 입지입니다. 1년 365일 중 약 1달을 제외하고는 외부 기온이 데이터센터 쿨링을 위한 최적의 조건입니다. 그러니까 쿨링 시설을 1개월만 가동하면 되는 거죠.

우리나라는 여름이 덥긴 하지만 봄, 가을, 겨울의 날씨는 충분히 활용 가능하지 않을까요? 그린 데이터센터를 원한다면 계절을 활용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1. 18. 19:49

SAN (Storage Area Network), 보통 SAN 하면 고가의 스토리지를 떠올리시죠? 서버를 구매하시면 하드디스크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1TB가 내장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죠. 그렇지만, 이 내장 하드디스크는 그 서버에 있는 웹서버, DBMS만 사용 가능하죠. 그런데 이 서버에서 구동되는 웹서버나 DBMS가 100G 밖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완전 낭비가 되는 거죠. 이 유휴 공간을 다른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100대의 서버에서 낭비되는 스토리지를 모아보면 엄청난 양이 될 겁니다. 그렇지만, 뭐 어쩔 수 없는 거죠. 쓸 수있는 방법이 없는데 어쩌겠어요? 아, 이걸 해결해주는 솔루션이 있다고요? 그게 어떤 거죠? 제게도 좀 알려주세요.
아직 완전한 분산 스토리지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이런 DAS(Direct Attached Storage, 즉 내장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거대한 풀로 만들고 다수의 가상 서버들이 SAN (즉, 하나의 스토리지) 처럼 보이도록 하는 솔루션이 있습니다.
HP가 인수한 LeftHand iSCSI SAN 인데요,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 System Center 스토리지 통합 솔루션과 함께 파트너십을 맺고 함께 출시하겠다고 발표가 됐네요.

이렇게 되면 인프라 클라우드를 구축할 때 운영체제는 이미 가능했고 (Dynamic Data Center Toolkit), 스토리지 역시 하나의 거대한 SAN 장비를 구매하지 않고도 많은 다수의 서버들의 DAS를 SAN 처럼 활용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분산 스토리지 구축이 가능해지는 첫 단추가 끼워졌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호스팅2010. 1. 12. 10:12

블로터닷넷의 도기자님, 정말 빠르시네요. 어제 제가 트위터에 짧은 글을 올렸습니다. 바로 도 기자님의 전화를 받았죠. ^^ 관련한 내용을 설명 드렸고, 물론 도 기자님이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있는 부분도 있었고, 그 내용이 합쳐져서 http://www.bloter.net/archives/23120, 바로 이 글이 네이버의 메인에 등장했는데 관련된 분들이 많은 관심을 보여주네요.

앞에서 계속 설명 드린 것처럼 아마존의 EC2는 인프라 클라우드 서비스 입니다. 윈도우, 리눅스, 기타 운영체제를 Self-Service Portal에서 선택하면 IP주소 할당, AMI(Amazon Machine Image)를 통해 운영체제 설치, 물론 이 Image에는 웹서버, 데이터베이스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쓸 수 있는 가상서버 1대가 10~15분 안에 준비 되는 것이죠. 이건 사실 기존의 호스팅 서비스와 비교했을 때 굉장한 거죠. 콜센터와 전화 연결, 쉽지 않죠? 사이트에 정보 등록, 다시 전화 연결, 결제, 호스팅 회사의 서버 도입, 설치 등등 굉장히 번거로운 작업이 사라지는 것, Breakthrough Innovation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바로 아마존의 EC2 서비스가 북미 시장을 강타했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하게 한 사건이 되었죠. 그런데 아마존이 EC2 서비스를 국내에서 할까요? 안 하겠죠? 그 시장을 누가 차지할 것인가를 두고 IDC, 호스팅 업체 간 각축전이 시작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선점효과를 차지할 것인가? 먼저 치고 나가는 회사, 그리고 마케팅을 잘 하는 회사가 고객의 마음에 클라우드 = LG데이콤? 스마일서브? 삼정데이터서비스? 코리아서버호스팅? 아니면 새로운 어떤 회사가 될 수 있겠죠.

그런데 문제는 EC2와 같이 Self-Service Portal, 자동화 및 프로비저닝,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갖추려면 많은 자원 (비용 포함)이 소요되는데, 그걸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가 Dynamic Data Center toolkit for Hoster, Enterprise를 제공한다는 거죠. 그걸 잘 이용하신 거고요. 직접 하실 수도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파트너를 활용하실 수도 있는 거죠. 어때요?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 같지 않으신가요? 이미 많은 고객이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Posted by 조이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