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2010. 7. 22. 17:22

많은 고객들이 Microsoft의 가상화, Hyper-V에 대해 제공되었으면 하는 부분이 바로 메모리에 관한 것 입니다.
”V사의 경우는 메모리 overcommit을 제공하는데, 왜 마이크로소프트는 동적인 메모리 할당을 제공하지 않는가?”

그런데 실제로 사용하시는 모습을 보면 메모리 overcommit을 켜놓고 쓰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성능 저하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overcommit이란? 실제 물리적 서버에 4G의 메모리가 있을 때 가상 서버가 1G의 메모리를 사용한다면, 4개의 가상 서버를 구동하면 물리적인 4G가 다 점유됩니다. 실제로는 더 이상의 가상서버에 메모리 할당이 불가능한데, 이 것을 실제로는 더 적게 사용하는 것처럼 하면서 5번째 가상서버, 6번째 가상서버에 1G 씩의 메모리를 더 붙여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굉장히 좋아 보이지만, 득과 실이 있는 것은 당연한 법,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이죠. 그것도 심하게 …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메모리를 유연하게 사용하도록 해주지만, 위와 같이 메모리 overcommit이 아닌 Dynamic Memory라는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물리적인 서버가 가지고 있는 메모리를 하나의 Pool 개념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해당 가상머신(워크로드)의 부하가 달라지게 되는데요, 이 부하에 따라서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더 많은 메모리를 할당해주고, 사용량이 줄어 들면 메모리를 회수하여 다른 가상머신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이지요. 동적인 메모리 밸런싱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리적 머신의 최대 메모리 안에서만 자유롭게 할당, 회수가 일어납니다. overcommit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1G로 시작하지만, 업무량이 많아지면 최대 64G까지 할당하겠다는 것이지요.

Dynamic Memory Settings Highlighted

자원을 사용량에 따라 유연하게 배부해주고, 사용량에 따른 비용 배부까지 가능해집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본 개념을 가상화 기술에 자연스럽게 접목한 것이지요.

image

시간대별로 업무량에 따라 사용량이 이렇게 달라지네요. ^^

출처: Technet Blog에서 가져왔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7. 19. 14:50

“Windows Azure는 세계 최초의 범용 클라우드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의 Server and Tools 비즈니스 President인 Bog Muglia의 말입니다. 범용 이라는 말이 눈에 들어 옵니다.

Windows Azure는 IaaS(Infra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를 포괄하는 클라우드 운영체제 입니다.
Google의 AppEngine은 PaaS 영역에 해당하지만, Python과 Java 2가지 언어만을 지원합니다. 구글 AppEngine에서 가이드하는 방식에 맞도록 개발을 해야 합니다. Amazon은 IaaS 영역에 해당하는 서비스이고, 개발을 위한 도구를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개발해야 할지에 대한 가이드, 도구는 제공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순수하게 가상화된 서버를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개발자가 알아서 하는 방식 입니다.

이에 반해 Windows Azure Platform은 개발자가 원하는 어떤 언어, 프레임웍으로도 개발 가능합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즉 MySQL, Apache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호운용성을 염두에 둔 플랫폼이라는 의미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Windows Server를 이용해 Java, PHP, .NET, Python, Ruby 등의 언어 및 프레임웍을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개념인거죠. 조금 더 확장하면 네이티브 언어, 즉 C나 C++같은 언어도 지원 가능합니다. 완전 범용이라는 의미입니다.

”개발자를 위한 플랫폼” 철학으로 만들어졌습니다. Visual Studio를 이용하거나, Eclipse를 이용하거나 상관 없습니다. 모든 유형의 개발자를 수용 가능한 플랫폼 입니다.

또 하나의 특징은 SDK(Software Development Toolkit)을 제공한다는 것 입니다. 클라우드에 배포하기 전에 PC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되는 것처럼 에뮬레이션하여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디버깅을 하는 것은 그렇게 편안한 작업은 아닐 것이므로, 로컬 PC에서 테스트를 한 후에 자신이 있을 때 클라우드로 옮기는 것이 가능해지는 거죠.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7. 14. 13:42

Microsoft의 글로벌 데이터센터에서 가동중인 클라우드 운영체제, Windows Azure Platform을 Service Provider, Enterprise 내부 데이터센터에 구축해 준다는 의미입니다.

Microsoft가 Windows Azure Platform을 만들 때 사용했던 Hardware(네트웍, 서버, 스토리지), Software를 해당 회사에 제공하여 Windows Azure, SQL Azure를 구축하는 겁니다. Enterprise class SLA(서비스 수준 협약)을 맺고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되면 SaaS, PaaS, IaaS 를 단번에 제공 가능하게 되니까,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자가 되려고 하는 많은 회사들의 폭발적인 관심이 예상됩니다.

이번 Microsoft WPC(Worldwide Partner Conference)에서 발표된 내용인데, 얼마 전까지는 Windows Azure Platform을 고객사 내부에 제공하지 않겠다고 했었는데 이번에 전격적으로 전략을 수정한 것입니다.
수 백에서 수 천대의 서버가 하나의 서버로 보이는 클라우드 운영체제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수 천대의 자원을 한 대의 자원 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Scale up/down, Elasticity (탄력성)를 기본적으로 갖게 되는 것이죠.

Appliance라고 부른 이유는 턴키 방식으로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고도로 표준화 되어 있고, 미리 설정이 완료된 하드웨어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아키텍처에 최적화된 네트워킹, 스토리지, 서버 하드웨어가 미리 정의되고 설정된 하드웨어 rack 형태로 공급됩니다.

현재는 글로벌로 특정 몇 개 고객사 및 파트너에 구축 합니다. 이후에 어디까지 확대할 것인지 좀 더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 Dell, eBay, Fujitsu, HP (4개사의 데이터센터에 구축하는 것은 이미 합의되었고, 이미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회사도 있습니다. eBay의 경우가 흥미롭지 않으세요?)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6. 22. 14:27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Server 2008, 2008 R2에 내장된 가상화, Hyper-V 아시죠?

Hyper-V를 통해 한대의 서버 위에 여러 대의 논리적 서버 (가상 머신)을 구동할 수 있잖아요.
이 가상 머신이 Windows Server, Linux (SUSE, Redhat) 등 Linux 운영체제도 올라갈 수 있거든요.
이 때 Linux 가상 머신에 할당 가능한 CPU 갯수가 현재는 1개까지만 가능한데, 조만간 4개까지 가능하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는 RC version of the Linux Integration Services (Release Candidate 버전) 이지만 곧 정식 버전이 나올 예정입니다. 나오면 바로 올려 드릴게요.

기술 지원에 대해서는 Server Virtualization Validation Program이 가동 중입니다. (Red Hat, VMWare, Novell, Cisco, 기타)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21. 17:47
클러스터는 물리적인 서버들의 그룹으로 외부에서 바라보면 한대의 서버로 보여집니다.
Hyper-V R2 클러스터 내에 구동 가능한 가상머신의 수가 최대 1,000대까지로 확장되었습니다.

이게 뭘 의미하는 지 좀 헷갈리시죠?  실제로 2010년 5월, R2가 발표되기 전까지 클러스터 내에 구동 가능한 가상머신의 숫자는 최대 960대로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Hyper-V 이전 버전에서는 1대의 호스트 서버(물리적 서버) 당 64대의 가상머신이 최대 지원 가능한 숫자였고, 클러스터 내에 구축 가능한 노드는 16개(1개는 Failover용, 즉 15+1) 이었습니다.  64대 * 15노드 = 960대의 서버가 최대였던 거죠. 그런데 Hyper-V R2에서는 1대의 호스트 서버 당 최대 384대의 가상머신을 구동할 수 있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총 지원 가능 댓수가 늘어나게 된거죠. 하지만, 1대의 호스트 당 384대의 가상머신을 구동할 수 있다고 해도 클러스터 내의 최대 가상머신 수는 1,000대 입니다. 물론 이후에는 더 많은 가상머신이 구동될 수 있도록 확대 되겠지만, 현재 수준에서 클러스터 내에 1,000대의 가상머신 구동은 충분한 규모가 될 것 같습니다.

http://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ee405267(WS.10).aspx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은 이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17. 09:34

제가 참여하는 세션은 “스마트 소프트웨어, SaaS의 법적 이슈” 입니다.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요, SaaS 관련한 규제 법률이 정확한 잣대를 들이대기가 쉽지 않아 혼란스러운 상황인데요, 그 부분을 좀 짚어보고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 지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나중에 내용은 정리해서 올려볼게요.

- 행사 내용 -

(사)한국정보법학회는 정보법학 분야의 학술적 연구와 연구자 상호간의 교류 및 공동연구 등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스마트 인터넷과 법・제도”라는 제목으로 최근 관련논의를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토론하는 정기 학술세미나를 개최합니다.
법조계, 학계 및 관련업계에 계신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기대합니다. 

◎ 주        제 : “스마트 인터넷과 법・제도”
◎ 일        시 : 2010년 6월 26일 (토) 오후 1시부터 6시 40분까지
◎ 장        소 : COEX 컨퍼런스룸 북 208호
◎ 주최 및 주관 : 한국정보법학회
◎ 후        원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 참가신청 및 문의 : 전화 070-7618-0321, 이메일 staff@kafil.or.kr

∙ 등록 및 개회식 오후 1시 부터
□개회사 : 한국정보법학회 회장 최성준(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수석부장판사)

- 발표자: 이대희 교수(고려대), “아이폰 탈옥 및 기술적 보호조치의 예외”
- 토론자: 김혜창 팀장(한국저작권위원회), 이정현 박사(한국인터넷진흥원),  조시행 상무(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

- 발표자: 손승우 교수(단국대), “스마트 소프트웨어, SaaS의 법적 이슈”
- 토론자: 강현구 팀장(정보통신산업진흥원), 김병일 교수(한양대), 신현석 부장(한국 MS)

- 발표자: 이승선 교수(충남대), “인터넷 광고심의에 대한 법적 고찰”
- 토론자: 이재환 변호사(법무법인 케이씨엘), 조연하 교수(이화여대), 황성기 교수(한양대)

- 발표자: 박성호 교수(한양대, 변호사), “전자출판의 법적 의미와 그 한계"
- 토론자: 김기태 교수(세명대), 박유리 박사(정보통신정책연구원), 최정열 변호사(법무법인 율촌)

※ 본 학술 세미나는 대한변호사협회 인정연수(4시간) 신청을 하였음을 알려 드립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11. 10:25

클라우드 컴퓨팅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패턴 중의 하나가 “예측하지 못하는 주문 폭주” 입니다. 예를들면, 미국의 슈퍼볼 게임 기간에 피자 주문량이 폭주하는 것이나, 우리나라에서 월드컵 기간에 치킨 주문이 폭주하는 등이 하나의 예가 되겠죠.
Windows Azure를 사용하는 고객 중에 도미노피자가 있습니다. 올해 1월에 치러진 슈퍼볼 (일요일)에 도미노피자가 시스템 장애 없이, 특별한 장비 투자 없이 성공적으로 추가적인 주문 트래픽을 소화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클라우드 컴퓨팅,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Azure를 활용했기 때문이라는 사실, 잘 모르셨죠?

또 하나, 고객 분들이 자주 묻는 질문중의 하나가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Azure, SQL Azure가 뭐가 대단한 거냐? 라는 질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Azure, SQL Azure는 하나의 운영체제 입니다. 예를들면, SQL Azure를 이용해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 이 데이터베이스가 전 세계의 마이크로소프트 Azure 데이터센터에 분산 배치되겠지만 고객에게는 하나의 인스턴스로 보인다는 것이죠. 즉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쓰는 것과 동일하다는 겁니다. 전세계 어디서 접속하든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거고, 한 곳의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겨도 전혀 문제없이 데이터 접근이 가능해진다는 것이죠. 이런 모든 일들이 자동화되어서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 관리가 된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진정한 의미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라는 말이죠.

하지만 아직 더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역시 남아 있습니다. 기존 Windows Server에서 구동되던 애플리케이션을 Windows Azure로 올리기 위해서는 설정 부분과 Web Role (프리젠테이션), Worker Role (비즈니스 로직)으로 코드를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물론 크게 복잡하지 않아서 어렵지 않지만 손이 가야 한다는 것이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Azure로 바로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올해 말 정도에 추가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될 때 Windows Azure의 Scalability나 특정 네이티브 기능의 혜택을 보지 못하게 되긴 하지만요. 당연히 그렇겠죠? 분산 컴퓨팅 환경에 맞도록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11. 10:06

글로벌 시장의 클라우드 진영을 살펴보면 이후에 어떤 모습으로 시장이 전개될지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진영을 나눠서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전개하고자 할까요? 물론 Market Share를 높여서 매출
볼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클라우드의 기반이 가상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EMC/NetApp 스토리지 기반으로 IBM 하드웨어에 VMWare를 이용해서 가상화를 적용해서 CRM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CRM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때 네트웍, 서버, 운영체제, 가상화, 스토리지 중에서 어디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알 수 있을까요? EMC는 IBM 하드웨어, IBM은 VMWare, 운영체제도 문제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문제일수도 있겠네요. 소위 핑퐁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를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큰 이슈라고 할 수 있겠죠.

이런 문제를 사전에 없애기 위한 방법이 모든 것을 내부의 리소스로 해결하거나 아니면 alliance로 풀 수 있습니다.
제가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는 영역은 엔터프라이즈 고객이 Private Cloud를 구축하고자 할 때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냐에 대한 것입니다. 구글, 아마존은 스스로 Public Cloud를 제공하는 옵션만 제공합니다. 고객의 내부 Private에 절대로 기술을 이전하고자 하지 않겠죠. 그들의 비즈니스 모델이니까요.

IBM은 모든 것을 다 스스로 하고자 합니다. 오라클도 Sun 인수를 통해 스스로 하려고 하고 있죠. VCE 연합도 Cisco가 서버를 만들면서 다 해결하고자 하고 있죠.

이제 마이크로소프트 연합이 남았네요.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Azure Platform이라는 훌륭한 Public Cloud를 가지고 있고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지만, 플랫폼 사업자이기 때문에 고객의 내부에 Private Cloud를 구축하는 것을 지원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Alliance를 맺고 있습니다. HP – Microsoft 연합, NetApp 스토리지 연합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지고 있지 않은 영역에 대한 부분을 훌륭하게 보완했습니다. 물론 다른 하드웨어 업체와도 당연히 조합이 가능하지만 글로벌 동맹을 맺고 있기에 마이크로소프트의 Private Cloud 솔루션인 Dynamic Data Center Toolkit과 Tight하게 연계되어 클라우드 솔루션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NetApp의 스토리지와 어떻게 연동되었는지를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6개월 전에 Microsoft - NetApp이 동맹을 맺으면서 NetApp의 스토리지를 마이크로소프트의 표준 관리도구, 즉 System Center 제품군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는데 드디어 기술 연동이 완료되었습니다. Microsoft의 Dynamic Data Center Toolkit과 밀접하게 연동되어서 toolkit을 통해서 Windows Powershell 커맨드렛을 호출하면 자동 프로비저닝, 복제, Fail-Over등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Dynamic Data Center Toolkit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까지 클라우드 환경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었네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파트너가 구현하면 다시 소식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10. 10:56

그 동안 좀 오래 쉬었습니다. 이제 새로운 부서에서 적응했으니 다시 활동을 해보려고 합니다.

Microsoft TechEd 2010에서 몇 가지 의미 있는 발표가 있어서 적어봅니다.
1. SQL Azure 관련 내용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크기가 기존 1, 10G –> 50G로 확대
    - Data Sync 서비스가 Public Preview로 발표되었습니다. 물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하나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QL Azure를 위한 SQL Server Web Manager를 여름에 출시합니다. 
    - Spatial data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Spatial data는 위치 기반 정보 (위도, 경도)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매핑, 각 지점간의 거리,
          특정 위치에 관련된 여러 가지 오퍼레이션을 다룰 수 있게 되는 거죠.
     - http://blogs.msdn.com/b/sqlazure/

2. Windows Server AppFabric
    - 정식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 On-premise, Cloud간의 유기적인 연동을 위해서는 인증, Service Bus 등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AppFabric이 바로
      그 역할을 제공하죠. Windows Server에 sub 기능으로 추가됩니다. 
      http://msdn.microsoft.com/appfabric
    - 웹, 조합,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의 관리 및 성능 향상
    - 분산 캐싱 기능을 제공합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1. 14:22

마케팅의 새로운 도구, Microsoft Tag를 한국에서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로건이 바로, “Connecting real life and the digital world”
”우리의 실제 생활과 디지털 세상을 이어주는 다리”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쓰임새가 아주 다양합니다.
기존의 바코드는 아래와 같이 생겼죠. Wikipedia라는 문자를 부호화하면 아래와 같은 바코드가 나옵니다.

물건을 사면 마트에서 바코드 리더를 가지고 읽고, 총액을 계산하는 건 모두 익숙하실 겁니다.

이런 단순한 역할을 뛰어넘어 바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읽어 들이면
1. 웹사이트를 열거나
2. 연락처 정보를 다운로드 하거나
3. 메시지를 받거나
4. 전화 걸기
5. 기타

어떻게 활용이 가능할까요? Microsoft Tag 리더가 아래와 같은 컬러의 태그를 읽어 들이면 미리 지정해놓은 동작이 스마트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죠.

예를 들면, 위의 이미지는 제가 제 개인정보를 입력해 놓은 태그 입니다. 이 값을 스마트폰의 태그 리더로 읽으면 연락처 정보가 바로 저장이 되는 것이죠. 아니면 제 블로그가 열리도록 하거나,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화가 걸리도록 하는 작업이 가능해지는 거죠.

활용 용도가 정말 다양합니다. 예를들어, 골프 매거진의 기사 옆에 해당 태그가 인쇄되어 있다고 할 때, 독자가 스마트폰으로 읽으면 해당 골프 기사의 강사 동영상이 작동되며 자세를 보여주는 등의 정적인 정보가 디지털 정보와 연동되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아니면 부동산의 매물에 해당 태그가 인쇄되어 있다면 매수자가 스마트폰으로 읽어 바로 매도자, 또는 중개인에게 전화가 걸린다거나 해당 매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생각하는 이상으로 무궁 무진한 사례가 나올 수 있겠죠.

자, 그럼 한 번 해보고 싶지 않으세요? 카메라가 있는 스마트폰은 지금 현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으로 Microsoft tag 리더 (App)를 다운 받는다
    http://gettag.mobi
2. Microsoft Tag Reader를 Download
3. 설치 (TagReader.0409.cab)
설치되고 나면 Windows Mobile Tag Reader가 Windows Mobile Start 메뉴에 나타난다.
실행 시킵니다.

http://tag.microsoft.com/consumer/index.aspx
이 사이트에서 Create Your Own Tags!에서 본인의 태그를 생성합니다.
저는 제 연락처가 담긴 태그를 만들어봤는데, 이 태그를 본인의 명함에 인쇄해 놓으면 다음에 상대방이 태그 리더로 읽기만 하면 바로 연락처가 저장이 되는 방식인 겁니다.

여러 가지 응용 사례가 있는데 참고하시면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tag.microsoft.com/resources/resources-home.aspx

얼마나 많은 사람이 해당 태그를 사용했는지 리포트에서 보면 알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 효과에 대한 분석도 가능합니다. 앞으로 엄청 활성화 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Posted by 조이트리